[뮤즈씬] 1991년 최고 시청률 58.4%를 기록한 국민드라마 ‘여명의 눈동자’가 2025년 11월 서울 현충원 맞은편 Converse Stage Arena ‘여명’ 공연장에서 새로운 형태의 뮤지컬로 돌아온다.
소설가 김성종의 원작을 바탕으로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제주 4.3에 이르는 10여 년의 격동기 속 세 인물의 아름답고도 찬란한 사랑 이야기와 혼돈스러운 역사 속에서의 생존, 그리고 어떤 환경에서도 가장 중요시 여겨야 하는 인간의 존엄을 담아낸다.
2019년 초연, 뮤지컬 어워즈 최고작품상 노미네이트, 2020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시즌을 거쳐 2025년 5년 만에 돌아온 뮤지컬 ‘여명의 눈동자’는 초연의 런웨이 무대에서 보여줬던 감동을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첨단 기술과 확장된 무대, 기존 공연장을 벗어난 새로운 스케일로 한층 진화해 우리에게 다시 돌아왔다.
특히 연말 대극장 뮤지컬 시장의 성수기 개막작으로, 수많은 대형 작품이 경쟁하는 시기 속에서도 ‘여명의 눈동자’는 기술적 화려함보다 배우들이 보여주는 깊이 있고 역동적인 연기, 그리고 우리에게 끊임없이 들려주는 이야기로 차별화된 감동을 전한다.
제작사는 이번 귀환은 단순한 재공연이 아니라 광복 80주년을 기념하고 다시 한 번 역사를 바라보며 세대를 넘어 기억해야 할 우리들의 이야기로서 시대를 잇는 작품이자 연말 관객들에게 ‘진정성으로 승부하는 단 하나의 창작뮤지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공연은 Converse Stage라는 다소 생소하지만 색다른 이동형 공연장에서 열린다.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컨버스에 그림을 그리듯 맘껏 작품의 감동을 표현할 수 있는 자유로운 형식의 공연장에서 기존의 정형화된 형식을 벗어난 관객이 함께 스토리에 녹아 공연을 흡입하는 놀라운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막구조로 형성된 돔형 극장은 무대와 객석의 거리가 불과 2m 남짓으로, 배우의 표정과 숨결을 가까이 느낄 수 있는 360도 몰입형 무대를 구현한다.
이동형 구조로 일반 공연장 보다 편의시설은 제한적이지만, 정형화된 공연장에서는 느낄 수 없는 자유로운 공간 연출과 실시간 에너지 교류가 가능하다.
제작사는 이번 무대가 대극장의 웅장함을 지척에서 느낄 수 있는 19년 초연의 감동을 그대로 보여준다며, 이번 시즌을 ‘안정성과 공간 활용성이 뛰어난 프리미엄 TFS특설 공연장기 위의 대극장’, ‘가장 가까운 거리의 감동’으로 표현했다.
2025년은 광복 80주년이 되는 해다. ‘여명의 눈동자’는 단순한 전쟁 서사가 아닌 기억의 힘(The Power of Memory)과 생존의 의미를 다루는 시대극으로서 80주년의 의미를 ‘기억에서 행동으로,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여명(黎明)’으로 확장한다.
광복 80주년과 연말 공연 시즌이 맞물리며 이번 작품은 단순한 뮤지컬을 넘어 한 해의 대미를 장식하는 시대극으로서 의미를 더한다.
노우성 연출은 “이 공연은 80년 전의 ‘광복’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자유’로 이어지는 이야기며, 관객이 2025년의 마지막을 ‘기억과 감동’으로 마무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서로 다른 시대를 살아가는 인물들이 결국 같은 운명으로 다시 마주하는 이야기.
‘서로 다른 곳을 봐도, 결국 우리는 같은 길을 향해 가는 바다일 뿐’이라는 대사는 시대를 초월한 인간의 존엄과 사랑, 그리고 생존의 철학을 담는다.
상처와 분열, 그리고 기억의 파도를 건너 서로를 향한 이해와 존엄으로 나아가는 여정이 이번 시즌의 중심을 이룬다.
또한 포스터의 대표 카피 ‘어떻게든 살아 남아야만 해. 어떻게든.’은 인간의 본능적 생존 의지를 상징하며, 작품 전체의 감정선을 응축한다.